
IT
1. 메타, '최강 성능 멀티모달' 라마 4 제품군
메타가 라마 4 스카우트, 라마 4 매버릭, 라마 4 베히모스 등 멀티모달 제품군을 공개했다. 또 왓츠앱과 메신저, 인스타그램 등 탑재된 메타 AI에 라마 4를 적용했다.
이번 제품군의 특징은 '전문가 혼합' 방식을 채택했다는 점이다. 이는 메타가 딥시크 모델을 분석하고, 이 중 일부 방식을 벤치마킹하겠다고 밝힌 데 따른 것이다.
특히 컨텍스트 창의 크기가 무려 1000만 토큰이다. 기존 최대인 '제미나이'의 200만 토큰보다 5배나 큰 것으로, 최근 산업계의 컨텍스트 창 확대 요구에 맞춘 것이다.
주력 모델로 볼 수 있는 라마 4 매버릭은 동급 최고의 멀티모달모델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각종 벤치마크에서 현존 최고급의 LMM인 'GPT-4o'와 '제미나이 2.0 플래시'를 능가했다.
*계속해서 서로의 성능을 넘기고 넘기는 상황같다. 이러다 딥시크처럼 다시 한 번 엄청난 AI가 나오거나 특이점이 오면서 정말 돈이 되는 AI로 변하는 지 궁금하다.
2. 구글 딥마인드, 인재 유출 방지 위해 1년간 '경쟁 금지' 계약
구글 딥마인드가 직원의 경쟁사 이직을 막기 위해 최대 1년간 '경쟁 금지 계약'을 체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계약 기간 동안 해당 직원은 업무에 참여하지 않지만, 급여는 계속 지급된다.
추가적으로 기술 우위를 위해 논문 발표도 제한했다.
*그만큼 경쟁이 치열해진 거 같다. 1년을 제한하면 격차가 엄청 벌어지는지 궁금하다.
3. 오픈AI 이어 구글도 앤트로픽 기술 'MCP' 채택
앤트로픽이 개발, 표준화한 MCP는 AI 모델이 비즈니스 툴과 SW뿐만 아니라 콘텐츠 저장소 및 앱 개발 환경 전반에서도 데이터 추출 및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AI 모델이 더욱 정확하고 풍부한 답변을 제공하며 AI 애플리케이션 간의 양방향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이같은 MCP는 고도화된 AI 에이전트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주목을 받으며 많은 AI 기업들의 관심을 받는 상황이다.
구글과 오픈AI는 서비스 강화를 위해 MCP 기술을 수용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4. 가트너 "SLM 사용량, 2027년까지 LLM보다 3배 많을 것"
가트너가 기업이 2027년까지 특정 작업에 맞춰 성능을 극대화한 소규모언어모델(SLM)을 도입하고 전체 사용량이 범용 대규모언어모델(LLM) 사용량보다 최소 3배 이상 많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 범용 LLM이 강력한 언어 처리 능력을 제공하지만 특정 비즈니스 분야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작업에서는 응답 정확도가 떨어진다고 분석했다.
기업은 검색증강생성 또는 미세조정 기술을 활용해 LLM을 특정 작업에 특화된 모델로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기업 데이터는 핵심적인 차별화 요소로 작용하며 미세조정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관련 데이터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준비, 품질 관리, 버전 관리, 전반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
모빌리티
1. 인피니언, 차량용 반도체 시장 1위 입지 강화
테크인사이트의 최신 조사에 따르면 인피니언은 지난해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시장에서 13.5% 시장점유율을 달성했다. 유럽에서는 14.1% 시장점유율로 1위로 올라섰으며 북미 시장에서 10.4% 점유율로 지난해 3위에서 2위로 올라서며 입지를 강화했다. 차량용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세계 시장 점유율 32%로 다시 상승해 2위 경쟁사와의 격차를 2.7% 포인트까지 벌렸다.
한국에서 17.7% 시장점유율로 1위로 기록했으며 차량용 반도체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도 13.9%로 서두자리를 유지했다. 일본에서는 13.2%로 2위를 유지했다. 그러나 지난해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시장 전체 규모는 2023년 692억달러 대비 1.2% 소폭 감소한 684억달러로 집계됐다.
또한, 인피니언은 최근 소프트웨어 즹어 차량(SDV)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마벨테크놀로지의 자동차 이더넷 사업을 인수하며 시장 마이크로컨트롤러 사업을 보완하고 확장한다고 밝혔다.
마벨의 '브라이트레인' 차량용 이더넷 포트폴리오는 PHY 트랜서버, 스위치 및 브리지로 구성돼 현재 100Mbps부터 시장을 선도하는 10Gbps까지의 네트워크 데이터 속도를 지원한다. 또한 현재와 미래의 차량 내 네트워크에 필요한 보안 및 안전 기능도 지원한다.
제약-바이오
1. 노바티스, 미국 내 제조 확대에 230억 달러 투자
스위스 제약사 노바티스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 속에서 미국 내 제조 및 연구개발을 확대하기 위해 향후 5년간 23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2. 노보노디스크, 브라질서 오젬픽. 위고비 생산 확대 투자
노보 노디스크가 브라질에서 당뇨병 치료제 오젬픽과 비만 치료제 위고비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1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하기로 했다.
로이터 보도에 의하면 브라질은 노보 노디스크에게 가장 규모가 큰 5개 시장 중 하나라고 한다.
'과잡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04. 5주차 과잡뉴스 (나리랩스, 화웨이, 테슬라, 림스) (1) | 2025.05.02 |
---|---|
2025. 4. 3주차 과잡뉴스 (A2A, XDR, 경구용 비만치료제) (0) | 2025.04.18 |
2025. 4. 1주차 과잡뉴스 (파운드리, AI, 전기차, 보이스피싱) (1) | 2025.04.05 |
2025. 3. 4주차 과잡뉴스 (xAI, 엔비디아, 벤츠, 웨이모, 프라다) (1) | 2025.03.28 |
2025. 3. 3주차 과잡뉴스 (구글, 엔비디아, 루이비통) (0)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