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
1. xAI, 동영상 생성 AI 스타트업 인수
일론 머스크 CEO의 xAI가 동영상 생성 AI 스타트업 '핫샷'을 인수했다.
2017년 설립된 핫샷은 그동안 AI 이미지 도구를 개발했으며, 지난 2년간 '핫샷-XL' '핫샷 액트원' '핫샷' 등 3개의 동영상 생성 AI 모델을 내놓았다.
이번 인수를 통해 xAI의 대규모 컴퓨팅 인프라를 활용해 기술 개발을 가속하겠다고 밝혔다.
*잘 모르지만 개발하지 않고 인수를 선택했는지 궁금하다.
모빌리티
1. 엔비디아, 1X와 가정용 휴머노이드 개발
엔비디아가 노르웨이 스타트업 '1X 테크놀로지스'와 손잡고 가정용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한다.
2025년 말까지 수백 가구에서 로봇을 테스트할 예정이다.
*1X 로봇은 GTC 행사장에서 청소기로 바닥을 청소하는 시연을 했다.
2. 메르세데스-벤츠, 로봇 제조사 앱트로닉 지분 인수
메르세데스-벤츠가 부품을 생산 라인으로 운반하거나 품질 검사를 수행하는 작업에 AI 로봇 스타트업 앱트로닉이 개발한 '아폴로' 로봇을 활용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앱트로닉에 1000만~2000만유로(약 159~318억원)를 투자하며 지분을 인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아폴로 로봇 몇대가 생산 공정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훈련받고 있다. '텔레오퍼레이션' 방식으로, 사람이 원격으로 로봇을 조작해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 뒤 로봇이 이를 학습해 자율적으로 반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3. 구글 로보택시 '웨이모', 내년 워싱턴DC서 운행 개시
구글 모기업 알파벳이 내년 중 미국 수도 워싱턴DC에서 로보택시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
알파벳은 현재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 실리콘밸리, 피닉스에서 웨이모 원을 서비스를 운행 중이다.
또한, 우버와 손잡고 오스틴, 애틀랜타에서도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알파벳은 지난해 유로 서비스 400만여 건 포함 총 500만 건 이상의 완전 자율 주행 차량 서비스를 제공했다.
소비재
1. 프라다, 베르사체 인수
이탈리아의 명품 그룹인 프라다가 약 15억 유로(약 2조 3730억원) 규모의 베르사체 인수 협상에서 주도권을 잡은 가운데 4월 10일까지 협상 기한이 정해졌다. 이 거래가 지미추를 포함한다면 최대 20억 유로에 달할 수 있다.
하지만 베르사체는 2024년 4분기 15% 매출 감소를 보이며 영업 손실을 기록했다.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이 합병이 반갑지 않다고 말했다.
2. 코티, 킴 카다시안의 뷰티 브랜드 지분 스킴스에 매각
글로벌 화장품 브랜드 커버걸의 모회사인 코티는 킴 카다시안의 뷰티 브랜드 지분 20%를 그녀의 의류 라인인 스킴스에 매각하여 두 사업을 단일 브랜드로 통합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3년, 킴 카다시안은 스킨케어 카테고리 확장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코티와 자신의 뷰티 회사에 대한 소수 지분을 되사기 위한 협상을 진행 주인 것으로 알려졌다.
3. 삼양식품, 해외 매출 1조원 시대.. 라면 단일 브랜드 최초
삼양식품이 라면업계 단일 브랜드 최초로 해외 매출 1조원 시대를 열었다.
삼양식품은 지난해 해외매출이 전년 대비 65% 증가한 1조 3359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제약-바이오
1. 바이엘, 중국 생명공학사 MTAP 결실 암 치료제 후보물질 확보
바이엘은 푸호 바이오파마와 MTAP 결실 종양을 선택적으로 표적으로 하는 경구용 저분자 PRMT5 억제제에 대한 글로벌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PRMT5와 MTAP는 세포 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세포 생존에 매우 중요하다.
전체 암의 약 10~30%에서 발생하는 MTAP 결실은 종양 세포 내 MTA 수치를 상승시킨다.
2. MSD, 중국 항서제약과 Lp(a) 억제제 라이선스 계약
미국 머크가 항서제약으로부터 중국에서 임상 2상 시험이 진행 중인 경구용 저분자 지질단백질 억제제 HRS-5346에 대한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지질단백질은 간에서 생성돼 혈액 내에서 콜레스테롤, 지방, 단백질을 운반하는 지단백질의 일종이며 혈관 벽에 축적돼 LDL 콜레스테롤과 유사한 죽상경화반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중요 장기로의 혈류를 제한해 심장발작, 뇌졸중, 심혈관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3. 노보 노디스크, 3중 작용 비만 치료제 라이선스 확보
노보 노디스크가 중국 제약사 유나이티드 래버러토리스의 비만, 제2형 당뇨병 및 기타 질환 치료를 위한 초기 임상 개발 단계에 있는 UBT251에 대한 독점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UBT251은 GLP-1, GIP, 글루카곤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지속형 합성 펩타이드 3중 작용제다.
*결국 노보 노디스크도 일라이릴리와 같은 길을 간다. 또한 중국의 바이오 기술이 높다. 오늘 뉴스의 3곳이 다 중국이다.
'과잡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4. 2주차 과잡뉴스 (MCP) (0) | 2025.04.13 |
---|---|
2025. 4. 1주차 과잡뉴스 (파운드리, AI, 전기차, 보이스피싱) (1) | 2025.04.05 |
2025. 3. 3주차 과잡뉴스 (구글, 엔비디아, 루이비통) (0) | 2025.03.21 |
2025. 3. 1주차 과잡뉴스 (GPT-4.5, 클로드3.7, RISC-V, 조선, 분자접착제) (0) | 2025.03.07 |
2025. 2. 4주차 과잡뉴스 (구글, 알리바바, 삼성전자, 아이온큐, LNG) (2)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