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크로뉴스

2025. 5. 4주차 매크로뉴스 (유럽 관세 유예, 중국)

Oenberg 2025. 5. 27. 21:26

 

환율(5/27 기준)

달러 : 1374.80 , 유로 : 1559.59 , 엔화 : 954.07 , 위안화 : 191.16 , 호주달러/스위스프랑 : 1.88 비트코인 : 152,098,000

달러 인덱스 : 99.43 / 한국 10년물 : 2.7230 / 미국 10년물 : 4.4630 / 독일 10년물 : 2.5360 / 중국 10년물 : 1.6850

 

*지난 주 대비 달러 약세가 눈에 뛴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오르는 비트코인이 보인다.

1. 기준금리

호주 : 20일 기준금리를 3.85%로 25bp 인하했다.

RBA는 인플레이션이 꾸준히 통제되고 있다는 점을 들며 금리인하를 설명했다. 하지만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에 대한 전 세계적인 대응을 지적하면서 "상당한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고 경고했다.

 

인도네시아 : 21일 기준금리를 5.5%로 25bp 인하했다.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의 선심성 복지 공약이 쏟아지면서 달러 대비 루피아화 가치가 역대 최저 수준으로 하락하자 BI도 환율 방어를 위해 그동안 금리를 동결해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달러 약세 등으로 환율이 안정을 찾자 경기 활성화 차원에서 금리 인하를 단행한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과 달리 다른 국가들은 금리를 계속 내린다. 그럼 달러의 가치가 상승해야 하는데 아니다. 그럼 미국 외 국가들은 달러 약세와 자국 통화 강세를 제어할 수 있을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플라자합의가 나온다고 말씀을 주신 분이 있다.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수출이 높은 국가들은 자국 통화 강세로 국가가 더 힘들어진다. 이를 협상하기 위해 플라자합의를 한다?..

 

근데 왜 달러는 약세를 보일까..

 

2. 미국-유럽, 50% 관셰유예 한 달간 유예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협상을 위해 내달 1일 부터 예고한 50% 관세 부과를 미뤄 달라고 요청해 트럼프 대통령이 동의한 지 하루 만에 성사됐다. 50% 관세 조치는 7월 9일로 미뤄졌다.

 

*23일 EU에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고 쓰려했는데 금새 유예했다.

 

3. 중국발 '빚 폭탄' 올해 30조원 갚아야

세계에서 가장 가난하고 취약한 75개국이 올해 중국에 갚아야 할 빚이 약 30조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로 120개 개도국 중 54개국은 올해 중국에 갚아야 할 부채 상환액이 서방 선진국 채권단에 갚는 금액을 이미 넘어섰다.

 

특히 파키스타, 라오스, 몽골, 미얀마, 카자흐스탄 등 중국 인접국과 아르헨티나, 브라질, 인도네시아, 콩고민주공화국 등 자원 수출국의 상환 부담이 급격히 커졌다.

 

로위연구소는 "개도국들이 중국발 상환 압박에 시달리는 가운데, 서방의 지원 축소와 글로벌 무역환경 악화까지 겹치면서 사회 불안, 필수 서비스 축소, 경제성장 둔화 등 연쇄적 위기가 현실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4. 중국-이란, 새로운 철도 개통

중국 이우에서 이란 콤까지 4,000km 철도가 개통되었다. 해상 운송 대비 25일 단축된 15일로 유라시아 물류를 뒤바꿀 잠재력이 있다. 이는 미국 해군 통제 해역을 우회할 수 있으며, 이란산 원유 수입 안정성을 모두 강화하는 결과를 가져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