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마존(Amazon)
아마존은 1994년에 설립된 미국의 다국적 기술 기업으로, 주요 사업 부문은 전자상거래, 클라우드 컴퓨팅이다. 2024년 현재 아마존은 세계 최대의 전자상거래와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로 자리 잡고 있으며, '프라임' 회원 서비스로 글로벌 시장에서 충성 고객층을 확보하고 있다.
아마존 사업 부문
1. 북미 및 국제 전자상거래 : 아마존의 전자상거래 사업은 북미와 국제로 나뉘어 있으며, 각종 상품과 디지털 콘텐츠 판매를 통해 매출을 창출한다. 물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AI 기반의 재고관리 및 물류 로봇 자동화를 도입하고 있다. (트위치, MGM 스튜디오, 약국 등을 인수하면서)할인, 무료배송, 스트리밍 서비스 등 프라임 회원 기반 확장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전자상거래 매출이 전체 매출의 84%(북미 61%, 국제 23%)를 차지하지만 영업이익률이 3.5%이다.
2. AWS(아마존 웹 서비스) : AWS는 클라우드 인프라와 서비스 플랫폼으로이다. 빅데이터, 머신러닝, IoT 등 고성장 기술 영역에서 AWS 서비스는 강력한 경쟁력을 지니고 있어, 전세계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점유율 31%를 차지한다. 최근 고객사들의 AI 활용 확대가 AWS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또한, MS의 오픈AI 투자에 맞서 4대 AI 회사 중 하나로 불리는 앤트로픽에 대규모 투자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 부문은 전체 매출의 16%를 차지하지만 전체 영업이익의 62%를 차지하는 수익성 높은 부문이다.
SWOT 분석
강점 : 아마존은 AWS를 중심으로 안정적인 매출과 높은 수익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북미 전자상거래에서 높은 점유율을 가지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AI, 전자상거래, 물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투자하고 있다. 또한, 프라임 멤버십 서비스가 충성도 높은 고객 기반을 형성하고 있다.
약점 : 전자상거래 부문은 경쟁 심화로 마진이 압박을 받고 있으며, 글로벌 물류망을 유지하는 데 높은 비용을 소모하고 있다. 또한 노동 관련 비용 상승이 추가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
기회 : 전자상거래 비용을 줄이기 위해 자동화 로봇, 드론, 심지어 아마존 항공을 운영하는 등 AI와 자동화에 투자를 활발하게 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선구자로 많은 인프라와 서비스를 제공하며, 특히 AI 서비스로 클라우드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다.
위협 : 전자상거래와 클라우드 부문 모두 경쟁 심화로 시장 내 입지가 위협을 받고 있다. 클라우드 부문은 MS와 구글과 같은 빅테크 기업의 진출로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이다. 또한 반독점 규제 리스크가 존재한다.
한줄평 : 물류 직원이 다 로봇으로 바뀌면 대박나지 않을까?
'한입거리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입거리] 테슬라(Tesla) 기업 분석 9# (1) | 2024.11.12 |
---|---|
[한입거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기업 분석 8# (1) | 2024.11.07 |
[한입거리] 넥스테라 에너지(NextEra Energy) 기업 분석 5# (1) | 2024.10.24 |
[한입거리] 레이시온 테크놀로지스 기업 분석 4# (3) | 2024.10.22 |
[한입거리] 일라이릴리(Eli Lilly) 기업 분석 3# (2) | 2024.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