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율(10/04 오후 3시 기준)
달러 : 1333.40 / 유로 : 1470.74 / 엔화 : 912.99 / 파운드 : 1751.36 /
위안화 : 188.89 / 프랑 : 1567.23 / 호주달러 : 912.57
달러 인덱스 : 101.82
(달러가 크게 올랐고 그 나머지는 다 하락했습니다. 왜 그럴까요. 달러 강세로 모두 약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일까요 한국에 비해?)
1. 이스라엘, 이란 석유시설 폭격 검토
이스라엘이 이란의 석유 시설을 직접 타격할 수 있다는 관측 속에 미국 정부도 검토 중이라고 밝히면서 공급 불안감이 증폭하면서 뉴욕유가가 5% 넘게 폭등했다.
추가적으로 한 애널리스트들은 시장이 과소 평가하고 있다며 200달러까지 폭등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란 석유시설 폭격으로 인한 석유 공급 차질과 이후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해상으로 운송되는 전 세계 원유의 약 20%가 이 해협을 지난다.)
2. 영국 중앙은행 총재 "중동 사태로 석유시장 위험 면밀 주시"
영국 중앙은행 총재인 앤드루 베일리는 "지정학적 우려는 아주 심각하다"며 중동 긴장 고조에 따른 '오일쇼크' 위험에 대해 경고했다.
3. 미국 동부 항만파업 종료, '임금 62% 인상' 합의?
미국 동부 지역의 항만파업이 종료됐다. 국제항만노조(ILA)는 6년 간 임금 62% 인상하는 계약에 합의했다.
다만 아직 ILA의 조합원들의 합의안이 비준은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파업은 다시 시작될 수 있으며, 잠정 합의안이 조합원 비준 투표를 통해 거부된 사례는 존재한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아직 완벽하게 해결한 상태는 아니군요. 이 파업이 지속된다면 미국의 물가에 다시 영향을 줄 수 있다는데 모니터링해야겠습니다.)
4. 중국 10조위안 부양책 소식에 항셍 또 2.24% 급등
블룸버그는 중국의 저명한 경제학자를 인용하여, 중국 정부가 모두 10조위안(1882조원) 규모의 재정팽창 정책을 내놓을 준비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5. 이탈리아, 은행 이어 방산업체에서 횡재세
이탈리아 정부가 재정적자를 줄이기 위해 기업으로부터 더 많은 횡재세 징수를 모색하고 있다.
이탈리아는 작년 8월 은행에 대한 횡재세 추진으로 은행주를 폭락시키기도 했다.
(전쟁특수를 누려서 횡재세, 금리 상승으로 횡재세, 그러면 앞으로 AI로 인한 횡재세 등 다양한 횡재세가 등장할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이게 불확실성에서 보통적인 일로 변할지 궁금합니다.)
6. 늙어가는 대한민국.. 60대 인구수, 처음으로 40대 넘어섰다.
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60~69세 인구는 777만 242명으로 40~49세(776만 9028명)보다 1214명 많은 것이다.
인구수가 가장 많은 연령인 50대는 872만 2766명이다. 우리나라 평균 연령은 45.2세이다.
'매크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10.5주차 매크로뉴스 (미국 대선, 버핏, 레이달리오) (9) | 2024.11.04 |
---|---|
2024.10.3주차 매크로뉴스 (중국 부양책, 이스라엘, 한국 WGBI 편입) (5) | 2024.10.20 |
2024.09.4주차 매크로뉴스 (중국 대규모 금리인하, 일본 총리, 이스라엘-레바논) (7) | 2024.09.29 |
2024.09.3주차 (3) | 2024.09.23 |
2024.08.5주차 매크로뉴스 (탄소포집, 트럼프, 천연가스 부족 예상, 엑스 브라질서 차단) (12) | 2024.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