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잡뉴스

2024.10.1주차 과잡뉴스(AI가 지능을 대신, AI와 미디어 산업, 빅파마 제조시설 투자)

Oenberg 2024. 10. 5. 07:49

 

IT

1. 오픈AI, '어드밴스드 보이스 모델' 서비스 공개

오픈AI는 고도화 한 음성AI 비서 서비스인 챗GPT'어드밴스드 보이스 모델'를 출시했다.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한국어를 포함한 50개 언어를 개선했다. 한국어의 경우 과거 어색한 말투에서 벗어나 실제 한국인이 말하듯 자연스러운 수준에 이르렀다. 심지어 한국어 사투리도 전보다 더 많이 이해할 수 있게 됐다.

 

활용도를 예시로 들면 기타의 음을 듣고 조율해주거나 노래를 듀엣으로 부른다.

(영상을 보니깐 어이가 없어서 웃음이 나오며.. 이제 취준생이 된 저에게 많은 생각을 또 던집니다.)

 

2. AI 모델 가격이 하락하면?

먼저 오픈AI에서 모델의 가격이 저렴해지는 것을 보여줬다. 처음 나왔던 GPT-4는 100만 토크당 36달러를 사용했다면 GPT-4 Turbo는 14달러, GPT-4o는 7달러, GPT-4o mini는 0.25달러로 크게 하락했다.

 

구글은 지난 18개월 동안의 토큰 당 가격을 보여주면서 100만 토크당 4달러였던 가격이 이제는 13센트로 크게 하락했다. 발표자는 "이제 우리는 공기와 같은 지능(AI)을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오픈AI 공동창업자이자 수석과학자이던 일라야 수츠케버는 엑스를 통해 "당신이 다른 모든 인간적 자질보다 지능을더 중시한다면, 당신은 힘든 시간을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패션&미디어-콘텐츠

1. LVMH, 미디어 제국도 꿈꾸나 / 몽클레르 지분 인수

럭셔리 그룹 LVMH은 '셀러브리티 특종'으로 프랑스 유명 주간잡지 '파리 매치'를 약 1756억 원에 인수했다.

'파리 매치'는 프랑스 문화 및 정치 엘리트들의 삶에 대한 통찰력으로 대중들의 인기를 끌고 있으며 왕실과 다른 군주제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LVMH는 이미 일간지 '르파리지앵'과 경제지 '레에코'를 소유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LVMH는 '특수목적회사'를 통해 약 15.8%에 해당하는 몽클레르의 직접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몽클레르 회장 겸 CEO 레모 루피니의 핵심 지주회사인 '더블 R'의 지분 10%를 매입했다.

 

LVMH는 이번 계약으로 최대 22%까지 늘릴 예정이다. 이 경우 LVMH가 자금을 제공하여 더블 R의 몽클레르 지분은 18.5%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이를 통해 LVMH는 더블 R 이사회에 두 명, 몽클레르 이사회에 한 명을 임명할 수 있는 권리를 얻었다.

(명품 제국의 확장은 어디까지인가..)

 

2. 미국, 올해 연말 사상 최대 온라인 매출 기록 전망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미국 이커머스 매출이 사상 최대 기록인 2408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2023년보다 8.4% 성장한 수치다.

 

이번 홀리데이 시즌에는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들이 판매 촉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어도비는 인플루언서를 포함한 제휴 및 파트너 채널이 기존 소셜 미디어 채널을 앞지르며 7~10%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선구매 후지불 방신인 BNPL 서비스를 통해 185억 달러의 온라인 지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BNPL 시장이 지속적인 성장이 있는 것이 신기하네요.)

 

3. '터미네이터' 제임스 카메론 감독, 스태빌리티AI 합류

영화 '아바타', '테미네이터' 등으로 유명한 제임스 카메론 감독이 인공지능 업계에 발을 들여놨다.

 

스태빌리티AI는 이미지 생성 도구인 '스태이블 디퓨전'으로 유명한 기업이다. 이 프로그램은 오픈AI의 '달리'와 더불어 대표적인 이미지 생성 AI로 꼽힌다.

 

제임스 카메론은 "생성형 AI와 CGI 이미지 제작의 융합은 영화 기술의 다음 물결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4. 인도 영화감독, "인간 음악가 대신 AI 음악만 사용할 것"

할리우드에 이어 발리우드(인도 영화 산업)에서도 생성 AI 도입을 선언한 사례가 등장했다.

 

램 고팔 바르마 감독이 새로운 장편 영화 '사리'의 전체 배경 음악을 AI로 생성했다며, 향후 모든 프로젝트에 생성 AI 음악만을 사용하겠다고 밝힌 내용을 보도했다.

 

그는 작곡가들이 제작 기한을 자주 넘기고 다른 프로젝트와 일정이 겹치는 것을 비판하는 한편, 작사가들은 노래의 본질을 포착하지 못한다고 비난했다. 반면 AI는 "비용 없이 즉시 제공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바르마 감독은 영화와 텔레비전 분야에서 유명한 감독 겸 시나리오 작가, 프로듀서다. 사실주의와 섬세한 기술 등으로 뉴에이지 인도 영화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오늘의 AI 뉴스는 생각이 많아지는 밤을 또 만드는군요.)

 

제약-바이오

1. 캐나다 2위 이통사, 한국 1위 정신건강 솔루션 회사 인

캐나다 2위 이동통신업체인 텔러스그룹이 국내 직장인 정신건강 솔루션 1위업체이자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1위 업체인 이지앤웰니스를 450억원에 인수했다.

 

텔러스그룹은 IT사업에서 헬스케어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최근 공격적인 M&A를 성사시켰다. 전자 의료 기록(EMR) 솔루션, 원격 의료, 전자 처방 관리, 약배송 서비스 관련 기업을 잇따라 인수한 데 이어 정신건강, EAP,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 기업인 캐나다 라이프웍스를 2조 2000억원에 인수했다. 라이프웍스는 그해 8월 호주 최대 EAP 기업인 베네스타를 인수했다.

 

최근 우울증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OECD 분석 결과 미국은 2019년 6.6%였던 인구 대비 우울증 유병율이 2020년 23.5%로 크게 늘었다. WHO가 지목한 생산성 저하의 주된 원인인 우울증을 극복하기 위해 이미 미국의 500대 기업 중 95% 이상이 정신 건강 관리 EAP를 도입했다.

(요아정이 400억에 인수됐는데.. 우리나라 EAP 시장이 작은 거 겠죠?)

 

2. J&J, 릴리 제조시설 건설에 투자

존슨앤드존슨이 최첨단 생물의약품 생산 공장 건설을 위해 2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새로운 시설은 존슨앤드존슨의 포트폴리와 혁신적인 생물학적 제제 파이프라인의 생산을 확대하면서 2030년까지 70개 이상의 새로운 치료제와 제품 확대 신청 및 출시를 추진한다는 존슨앤드존슨의 방대한 계획을 뒷밤침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일라이릴리는 첨단 제조 및 신약 개발을 위한 새로운 센터인 릴리 메디신 파운드리를 건설하기 위해 45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연구와 제조를 한 곳에 결합하는 최초의 시설인 메디신 파운드리는 제조 공정을 최적화하고 임상시험용 의약품 생산능력을 늘리는 한편 비용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줄이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빅파마 주가 상승이 멈추기 시작했는데 장기적으로는 좋다고 전망하는 것일까요. 약가 인하법은 어떻게 될까)